★윈도우 정품 등록이 안되는 진짜 이유(Feat.0x803FA067)
곧 개학을 맞이해서,
조립식 PC 구매에 대한 꿀팁 글을 올렸었습니다.
★초보도 조립식 PC 문제없이 안전하게 구매하는 방법★
아직 한참이긴 하지만.. 새로운 학기(?)를 맞이해서 조립식 PC를 구매를 많이 하시던데.. 회사에서 어떤 직원분이 저에게 자기가 조립식 PC 부품들을 장바구니에 담았는데.. 한번 봐달라고 하더라
lan-gunny.tistory.com
저도 최근에 해리포터 레거시를 구매해서 플레이 해보는데..
너무 랙이 걸려서 권장사항을 확인했더니..
근데 나는 i7-7세대를 쓰고 있어서
신규 메인보드와 CPU를 구매 후
가장 어려운 조립 깔끔하게 한 후에...
마지막으로 가장 쉬운
윈도우 정품을 하면 끝나는데..
아니 이게 뭐야?
인증이... 안되네??
여러번을 하고 해도 안되는 거였습니다.
뭐지 잘못되었나?
아무리 봐도 윈도우를 잘못설치한건 아니었습니다...
결국 다음날
MS 본사에 연락을 하였더니...
엄청난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원인은 바로...
"FOR OEM"
그전에 저는 첫 조립식 PC를 사이트에서 구매를 하였었습니다.
거기서 제공하는 윈도우를 구매하였는데요..
지금 그 사이트를 가서 찾아보니..
※ DOEM
즉, 하드웨어(메인보드) + 운영체제(Windows)를 같이 판매하는 형태로
더 쉽게 말해서 메인보드에 윈도우 10을 귀속시켜 판매하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들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https://www.soft2000.com/12193
윈도우 10 FPP, ESD, OEM, COEM 비교
윈도우 10을 구입할 때 접하게 되는 용어가 있습니다. FPP, ESD, OEM, COEM. 윈도우의 기능에는 차이가 없지만, 사용할 수 있는 PC, 기술지원 등에서 차이가 납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
www.soft2000.com
https://m.blog.naver.com/tcnhinet/220691340491
DOEM 과 COEM 이란 ?
아이마스터
blog.naver.com
자, 그럼 어떻게 해야되냐?
우리에겐 2가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1. 컴퓨터를 오랫동안 사용하다가, PC를 바꾸게 되면 다시 조립식 PC를 새로 구매 한다.
2. 내가 조립과 윈도우 설치에 자신이 있어, 추후에 메인보드 및 CPU 교체를 할 예정이라면
아래 ★FPP버전을 구입한다.
(FPP에 대한 설명은 아래 사진들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정리
1. 조립식 PC를 인터넷에서 구입할때 운영체제를 OEM형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2. 추후에 PC의 부품(특히 메인보드)교체 시 기존의 OEM 형식의 운영체제는 재사용 할 수 없다.
3. 따라서, 나중에 PC를 다시 구매할게 아니라면, MS OFFICE 공식홈페이지에서
FPP(Full Package Product)형식으로 구매하도록 하자.